호이안

해당 포스트는 하루에 하나씩 FE 개발자 면접 문제 오픈 채팅방에서 매일 출제되는 퀴즈를 토대로 학습 및 토론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

 

1. Quiz 및 답변

퀴즈

안녕하세요~ 좋은 하루입니다! 오늘의 FE의 질문은!!

Q1. 자바스크립트의 event loop와 call stack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고, microtask와 macrotask 큐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세요. 이를 통해 비동기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답변

 싱글스레드인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방식을 보완하기 위하여 브라우전 엔진 및 노드등은 이벤트 루프와 같은 설계 방식을 선택하였습니다!
이벤트 루프는 자바스크립트의 콜스택이 비게되면 태스크큐에 있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시켜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 로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때 큐 하나로는 비동기 작업의 우선순위 및 효율성을 지키기 어려워 **매크로 태스크 큐** 와 **마이크로 태스크 큐** 두 가지 큐를 통하여 비동기 처리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마이크로 태스크큐는 주로 프로미스나 뮤테이션 옵져버가 들어가며, 매크로 태스크 큐는 그 이외의 대부분 비동기 작업이 들어갑니다.

2. 토론

 대부분의 답변들이 콜스택과 태스크 큐를 강조하며, 태스크 큐와 마이크로 태스크 큐의 차이점, 그리고 각 큐에는 어떤 작업들이 들어가게 되는지를 설명해 주었습니다. 이 중 이슈가 되는 답변과 그에 대한 저의 생각들을 나열해보겠습니다.

 

Q.1 '🤔 자바스크립트가 동기적으로 처리한다는 말이 약간 애매하지않을까요 ?'

 

 저는 질문의 의도를 아래와 같이 생각하였습니다.

 

[사고의 맥락]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도 되니깐 동기라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한거 같다' 라고 생각을 하시고 있으신가?. 라고 생각하였으며, 그에 대해 저는 '자바스크립트 자체는 싱글 스레드로 동기가 맞으며, 비동기를 가능하게 한 것 은 런타임 에서 이벤트루프와 같은 설계를 도입하여 싱글스레드를 보완 한 것이다' 와 같이 생각하였습니다.

 

 

[당시 답변]

이와 관련하여 '동기적인데 이벤트루프, 큐로 인해서 비동기처럼 보이는거 뿐일거로 알고 있어요' 와 같은 답변들도 있었으며, 해당 질문을 통하여 토론방에서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비동기를 실행할까' 에 대한 이상적인 토론이 오고갔습니다.


Q.2 console.log 랑 value값이 어떻게 찍힐지 예상해보세요~!

감사하게도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문제를 올려주신분이 있습니다.

 let value = 100;

const delay = ()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ole.log(0, value);
    setTimeout(() => {
      console.log(1, value);

      value = 200;
      console.log(2, value);
      resolve(value);
    });
  });
};

(async () => {
  const output = await delay();
  console.log("3", output);
})();

value = 300;

 

[사고의 맥락]

1️⃣ console.log(0, value); → 0 100

  • delay() 함수가 실행되면, 동기적으로 console.log(0, value);가 실행됩니다.
  • 이 시점에서 value는 100입니다.

2️⃣ value = 300;

  • 비동기 함수인 **await delay()**는 Promise가 처리될 때까지 일시 중단됩니다.
  • value는 300으로 변경됩니다.

3️⃣ setTimeout 콜백 실행 → 1 300

  • 이벤트 루프에 의해 **setTimeout()**이 실행되면, 변경된 **value = 300**이 출력됩니다.

4️⃣ value = 200; → 2 200

  • setTimeout 내부에서 **value**가 200으로 업데이트되고, **2 200**이 출력됩니다.

5️⃣ resolve(value);

  • Promise가 fulfilled 상태가 되어, await 다음 줄이 실행될 준비가 됩니다.
  • 이때 value는 200입니다.

6️⃣ console.log("3", output); → 3 200

  • **output**에는 **resolve(value)**로 전달된 200이 저장되어 출력됩니다.

[당시 답변]

0 100

1 300

2 200

3 200

 

 

[정답]

 

 

[공유]

Node.js와 V8의 이벤트 루프 차이

V8 엔진 (브라우저 환경) Node.js의 이벤트 루프
V8 엔진에서는 이벤트 루프가 매크로태스크(예: setTimeout)보다 항상 마이크로태스크(예: Promise, process.nextTick)를 우선 처리합니다. 이는 이벤트 루프의 각 반복에서 콜 스택이 비워질 때마다 마이크로태스크 큐를 우선적으로 비우는 구조입니다. Node.js는 V8 엔진 위에 구축된 환경이지만, 이벤트 루프의 동작 방식은 libuv 라이브러리에 의해 제어됩니다. Node.js 이벤트 루프는 여러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가 끝날 때마다 마이크로태스크 큐를 비우지 않습니다. 대신, 특정 단계에서만 마이크로태스크(예: Promise의 후속 작업)가 처리됩니다.

3. 후기

이전에 블로그 포스팅을 했던 내용이라 꽤 관심있게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시금 자바스크립트 동작원리에 대해 공부할 수 있어 좋았고 다음에 더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 뵙겠습니다!!

+ Recent posts